본문 바로가기
study/uro

혈뇨란, 혈뇨 원인, 치료방법, 혈뇨가 지속되면?

by 해피다다 2023. 10. 26.

1. 혈뇨란(hematuria) ?

혈뇨는 소변에 비정상적인 양의 적혈구가 섞여 배설되는 것을 말합니다.

단순히 소변이 붉다고 해서 모두 혈뇨는 아닙니다. 혈색소, 약품이나 식품안에 함유된 색소에 의해서도 붉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를 혈뇨라고 생각하여 급하게 응급실을 찾는 환자분들도 계십니다.

 

혈뇨는 약 80%는 내과적 질환, 약 20%는 비뇨기과적 질환에 의해 발생하며, 연령에 따라서 매우 다르지만 40세 이후의 혈뇨 는 약 15~20%는 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환의 초기증상일 수 있 으므로 정밀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혈뇨와 관련해서는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신장내과 등의 과에서 진료를 받아봄이 필요합니다.

 

2. 혈뇨의 원인

혈뇨는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소변이 나오는 길, 소변을 만드는 곳등 관련된 모든 장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요로감염
혈뇨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여성의 경우 거의 85%가 요로감염 때문에 혈뇨가 생깁니다.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보실 때 통증이 있거나, 질 분비물에 이상이 있으면서 요검사에서 백혈구와 균이 관찰되면, 우선 요로감염을 의심해서 원인균을 확인한 다음 적절 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남성의 경우에도 전립선염, 방광염 등의 감염으로 혈뇨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사구체신염 및 간질성 신염
사구체신염은 신장에서 노폐물을 여과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인 사구체에 면역매개성 염증이 발생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는 소변에 이형 적혈구가 증가되고, 단백뇨가 동반되는 수도 있습니다.
이 병은 심각한 정도가 매우 다양합니다. 어떤 분은 평생 아무 증상이 없을 수 있고, 어떤 분은 붓고 고혈압이 생기며, 더러는 서서히 신장 기능을 잃어가기도 합니다. 단백뇨 없이 혈뇨만 있다면 혈압, 신장 기능, 요검사 소견을 모니터하면서 정상적으로 지내면 됩니다. 그러나 단백뇨의 정도가 심하거나 신기능이 감소되어 있다면, 신조직 검사를 포함한 정밀검사 후에 치료방침을 세웁니다.


(3)상부 요로계 질환
혈뇨를 유발하는 상부 요로계 질환에는 낭종, 결석, 신결핵, 종양, 유두부 괴사 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체중감소, 복통, 옆구리동통, 요로결석, 결핵의 병력이나 진통제를 과용한 분은 일차적으로 이 부위에 병이 있는지 알아보게 됩니다. 한편 요로감염과 사구체 신염을 제외하면, 혈뇨는 상부 요로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4) 방광 및 하부요로 질환
방광에서도 요로감염, 종양, 결석, 계실, 외상 등에 의해 혈뇨가생깁니다. 방광질환의 주요 증상은 요실금, 빈뇨, 배뇨시 통증 등이며, 이 부위를 진단하는 데는 방광경 검사와 방광에서 소변이역류하는지를 보는 X-선 검사 등이 이용됩니다.


(5) 기타
모든 검사 후에도 병소가 너무 작아서 진단을 못 내리는 경우가 약 13%에 달합니다. 이 경우는 가벼운 사구체신염, 간질성신염, 작은 혈관 질환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작은 초기 종양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3~6개월에 한번씩 3년동안 외래에서 혈뇨의 유형이 변하는지, 혹은 다른 새로운 소견이 나타나는지 추적 관찰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방광암, 전립선암등의 요로계 암의 경우에도 혈뇨를 유발할 수있습니다.

실제로 방광암의 경우에는 혈뇨를 가장 큰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혈뇨 진단 방법

특정한 증상이 있으면 의심되는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를ㅍ먼저 시행하지만, 만일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부터 검사합니다.

● 혈뇨 감별을 위한 소변검사 

● 방광경 검사 안내
방광경 검사는 위장 내시경 검사나 대장 내시경 검사 등과 마찬가지로 기계를 방광에 넣어 직접 방광 안을 살펴보는 검
사방법으로서, 방광 내부의 이상을 확인하는 가장 정밀한 검 사법입니다. 방광경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경정맥 요로 조영술
이나 초음파 검사등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의심스러운 방광의병변을 확인하거나, 또는 이들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방
광암, 결석, 염증, 이물질 등 방광의 미세한 질환을 진단할 수있습니다

 

● 이외에도 채혈검사, 산부인과적 검사, 이후 암을 진단하기 위한 조직검사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지속되는 혈뇨는 요로감염, 더 나아가 암의 초기 증상일 수 있으니 방치하지 말고 꼭 병원에 방문해서 진료를 보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