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heart3

수술, 조직 검사 전 중단해야 하는 약물은? ( 항응고제, 항혈전제, 오메가3) 요즘에는 종합 성분의 비타민제, 영양제들도 많고 누가 좋다더라 하는 이야기를 듣거나 추천받아서 여러가지 영양제를 복용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다 보면 어떤 약물을 정확히 먹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갑자기 건강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서 빠르게 조직검사, 수술, 시술, 치과 진료가 필요한 일이 생긴다면 정확히 어떤 약을 중단해야하는지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조직검사, 수술전 약물 중단이 필요한 이유는? 1)아스피린, 와파린 같은 항혈전제나 혈소판 응집억제제, 항응고제등의 약물을 복용중이라면 수술 및 조직검사 이후에 출혈이 멈추지 않을 위험성이 있습니다. 아스피린이나 와파린은 환자분이 드시고 있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많지만, 건강 목적상의 기넥신, 실로스타졸, 오.. 2023. 10. 31.
전극도자절제술, 의학용어 RFCA, 방법 및 부작용 1)정상적인 심박동수는? 정상적인 심장 박동수는 보통 1분에 60~100회 입니다. 정상적인 수축과 이완을 통해서, 심장은 산소와 영양분이 신체 각 부분에 골고루 보내는 펌프역할을 합니다. 만약 정상적으로 심장이 뛰지 않고, 지나치게 빨리 뛸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신체에 피를 공급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2) 전극도자 절제술이란(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치료가 필요한 빈맥은 항부정맥제, 혹은 전극도자 절제술등의 처치가 필요합니다. 약물치료는 현재까지 가장 많이 쓰는 치료이며 효과적으로 빈맥 발생을 억제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속하여 약물을 복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약의 부작용 또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RFCA, 전극도자 절제술의 치.. 2023. 10. 26.
신규간호사의 EKG 공부하기 병동에서 환자를 보다보면 요즘에는 cardiac Hx가 있는 환자가 저어어엉말 정말 많다. 난 모르는데.....🤣 3VD, 2VD는 기본이고 angina, AF 그 외에도 신기한 arrythmia를 기저로 가지고 있는 환자분들이 참 많다. 일단 난 바보 신규간호사이기 때문에 모른다...그리고 무섭다. EKG monitoring을 하는 환자들은 매 듀티마다 리듬을 봐야하는데 난 아무리 들여다봐도 도통 뭔 리듬인지 모르겠다. 어떻게 뭘 사정해야할지도 모르겠고, OP후에 chest pain이 있거나 v/s이 급격하게 abnormal해지면 너무너무 무섭다. 몰라서 불안해하기보다는 ekg를 미친듯이 공부해보기로 결심했다. 물론 공부해도 바보라서 모르겠지만....하하하 뭘 어떻게 공부해볼까 고민하면서 여기저기 검색.. 2022. 7. 25.